종합 > 데스크정치

이재명의 PK 구애, 차가운 민심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비해 전통적인 보수 텃밭인 부산·울산·경남(PK) 지역 공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야권의 유력 대선 주자로 떠오른 이재명 대표는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지역 맞춤형 공약 발굴에 나서는 등 PK 민심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다음 달 초중순 부산을 방문해 북극항로 개척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할 예정이다. 이는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이 전략적으로 부각시키는 핵심 공약이다. 최근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정윤재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의 모친상을 전화로 조문하며 PK 지역 정서와의 교감을 시도했다. 또한 지난달 말에는 경남 양산의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를 방문해 부울경 발전 방안과 지역 공약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의 적극적인 구애 행보에도 불구하고, PK 지역의 민심은 여전히 싸늘하다. 한국갤럽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대표의 PK 지역 지지율은 23%로, 전국 평균 34%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지지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부울경 응답자의 긍정 응답이 28%에 그쳤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대선에서 기록한 38.77%의 득표율과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지역 야권 내부에서는 보수 정권의 두 번째 탄핵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이재명 대표 외에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 대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강한 PK 지역에서 중도층 표심 확보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처럼 지지율이 정체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지목된다. 첫째, KDB산업은행 본점 이전 반대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뿌리 깊은 불만이다. 이 대표는 지난해 총선 기간 중 부산을 방문했을 때도 산은법 개정안에 대해 일절 언급을 피했다. 둘째, 지난해 1월 피습 사건 이후 부산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긴급 이송된 것이 '부산 홀대론'으로 이어졌다. 셋째, PK 지역 내 친명계와 비명계 간의 잠재된 갈등 구도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PK 지역은 전통적으로 친노무현, 친문재인 인사들이 주류를 형성해온 곳이다. 이재명 대표가 당권을 장악한 이후 치러진 여러 선거 과정에서 계파 간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나며, 지역 조직 결속력 약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이재명 대표의 PK 지역 지지율 상승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